"타이어 공기압 경고등이 표시되었나요?"
"펑크는 아닌 거 같은데, 경고등이 들어와서 불안하신가요?"
타이어 압력은 차종별 적정 범위가 있어서 그 이하로 떨어지면 전면 계기판에 경고등이 들어오는데요. 계기판에 무엇인가 경고 표시가 뜨면 조급한 마음이 생기고 바로 조치를 해야 할 것 같은 생각이 드는데요. 지금부터 자동차 타이어 공기압의 적정 압력은 어떻게 되는지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잠깐! 신차 카드할부 100% 가능한 곳을 체크해 보시기 바랍니다.
계절별 타이어 적정 공기압
여름에 멀쩡하던 공기압이 날씨가 추워지는 겨울이 되기 시작하면 갑자기 계기판에 경고등이 나타나는 경우가 많은데요. 이는 날씨가 추워지면서 타이어 내부 공기가 수축하면서 압력이 줄어드는 자연스러운 현상입니다.
그래서 계절에 따라서 각각 다른 공기압으로 주입하고 관리하는 것이 중요한데요. 여름과 겨울 타이어 공기압을 어떻게 관리하면 되는지 알아보겠습니다.
여름철
적정 공기압의 80%를 주입하는 것을 권장합니다. 실제 중형 승용차 기준 44 psi 이면, 약 35 psi를 넣으시면 됩니다.
겨울철
여름철보다 조금 더 넣어야 합니다. 이유는 위에 설명드렸다시피 공기압이 감소하기 때문에 38 psi, 여름철보다 약 10% 정도 더 넣는 것을 권장합니다.
자동차가 스크래치가 나서 속상하신가요? 최소 수리비용에 대해서 체크해 보시기 바랍니다.
차종별 타이어 적정 공기압
차량의 크기나 용도에 따라서 적정 타이어 압력이 있을 것입니다. 결국은 차량의 종류에 따른 최적의 성능을 내기 위한 압력이라고 보시면 되는데요. 자세히 살펴보겠습니다.
중대형 승용차 : 35 ~ 38 psi
소형 승용차 : 28 ~ 30 psi
SUV : 36 ~ 42 psi
화물차 : 53 ~ 55 psi
당연한 이야기겠지만, 차량이 클수록 높은 압력으로 주입 후 주행하셔야 합니다.
현대 자동차를 싸게 구입하는 방법은 아래 링크를 체크해 보시기 바랍니다.
적정 압력이 벗어나면?
그렇다면 적정 타이어 압력보다 많이 넣거나 부족하면 어떻게 될까요? 상식적인 측면에서 알고 넘어가 보겠습니다.
공기압이 부족할 때 : 타이어가 지면과 닿는 면적이 커지므로 연료 소모가 많아지고, 마모와 펑크가 잘 납니다.
공기압이 많을 때 : 자동차 제동 거리가 길어지고, 외부 충격에 의해서 쉽게 손상이 생깁니다. 또한 편마모의 원인이 되기도 합니다.
지금까지 자동차 타이어 공기압의 적정 압력은 어떻게 되는지 알아보았습니다. 안전운행과 유지비 절약 측면에서 타이어 공기압을 적정 수준으로 유지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꼭 계절이 바뀌는 시점에 한 번씩 점검해 보시길 바랍니다.